반응형

github 3

Git & GitHub 실무 활용 (GitHub 용어 정리)

GitHub 분산 버전 관리 툴인 Git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서비스로 영리 목적 서비스와 오픈소스를 위한 무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 (2019년부터 private 소스들도 무료 업로드 가능) 특징 GUI Git이 텍스트 명령어 입력 방식인데 반해, GitHub는 GUI 제공 오픈소스 기여 전세계에서 진행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많이 모여있어 이에 참여하고 오픈소스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 소스제공 편의 GitHub를 이용해 자신이 작성했던 코드 그 자체를 곧바로 제공 가능 자체 Git 서버 보다 GitHub 선호 추세 (오픈소스 성지) 용어 Fork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복사하는 기능 Pull Request 포크한 저장소를 수정해 다시 원본 저장소에 병합해달라는 요청을 보내 사용자 사이의 상호..

교육 2023.05.27

Git & GitHub 실무 활용 (Git 설치 및 용어 정리)

Git git-scm.com Git 다운로드 Git Bash 실행 - GUI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라 강력하진 않음 - 교육은 실습을 통해 명령어를 익히는 정도로 진행 로컬저장소 생성 Staging 저장소에 파일 생성 및 추가 추가된 파일의 수정 master 브랜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브랜치 생성 브랜치 병합 충돌 해결 저장소 기록 보기 $ Git config --global - 명령어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 저장소 생성 --git init - Git 저장소 폴더 생성 - 저장소 폴더로 이동 - Git 저장소 초기화 - 초기화된 폴더는 (master)라고 표기 됨 - 저장소가 초기화되어 실제 Git과 관련한 폴더 및 파일이 생성됨을 볼 수 있음 파일 생성 - vim editor로..

교육 2023.05.26

정보처리기사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버전 관리 도구(클라이언트/서버 방식 SVN과 분산 저장소 방식 Git), 깃허브 차이점)

버전 관리가 필요한 이유 개발자 간의 협업을 위해 전체 개발 소스를 공유하면서 개발 파트를 나눌 수 있고 같은 모듈을 개발하더라도 소스를 공유하며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유 폴더 방식 버전 관리 자료가 로컬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 개발자들은 개발이 완료된 파일을 약속된 공유 폴더에 매일 복사함 담당자는 공유 폴더의 파일을 자기 PC로 복사해 컴파일 한 후 이상 유무 확인 파일의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며 관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버전 관리 자료가 중앙 시스템(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 ex) CVS (Concurrent Versions System, 동시 버전 시스템), SVN (Subversion) 서버의 자료를 개발자별로 자신의 PC(클라이언트)로 복사해 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