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최신문제집)

ByeongJun 2024. 4. 25. 14:43
반응형

2024년 정보처리기사 1회 시험이 이번주 토요일인데 이미 나는 틀린 것 같지만..!

 

정보처리기사는 합격하는 것도 어렵지만 시험 접수가 더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써

불합격하더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보자는 거짓 긍정적인 마인드로 

내 위주로 정보처리기사 실기 내용을 요약해놓은 글이니 제대로 공부하고싶은 분들은 

저한테 아까운 시간 쓰면서 악플달지말고 조용히 뒤로가기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정리 

 

 

 

요구사항

기법
인터뷰 :  다양하고 많은 사용자의 의견을 듣기 위해 계획하고 진행
설문 : 이해관계자들의 관심, 내부 정보, 개선 의견을 끌어낼 문항 준비
사용자 스토리 : 사용자, 개발자와 함께 시스템에 바라는 기능을 이야기 형태로 기술
업무절차 조사 : 기업의 내부 표준, 업무 메뉴얼 등을 조사해 요구 및 제한사항 도출
브레인 스토밍 회의 : 인터뷰와 함께 수행하여 최대한 많은 요구사항 수집, 훈련된 인원이 진행
프로토타이핑 : 예상 기능 일부를 빠르게 구현(프로토타입)하여 피드백 진행
유스케이스 : 사용자 요구사항 시스템 이용자와 기능, 관계로 표현 (사용자의 관점에서 표현한 도표)

 

분류
기술 내용에 따라 기능적 요구사항 시스템의 기능, 제어 연산,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
비기능적 요구사항 성능, 보안, 품질, 안전 등에 대한 요구사항
관점 및 대상에 따라 사용자(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 친숙한 표현
시스템 요구사항 시스템(개발자)에게 제공해야하는 것, 기술적 표현

 

요구사항 검증(Requirement Validation) 방식
동료(Peer) 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내용을 직접 설명하면서 결함 분석
워크스루(Walk Through) : 미리 요구사항 명세서를 배포하여 사전 검토 후 짧은 회의를 통해 결함 분석
인스펙션(Inspection)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 이외의 전문 검토 그룹이 상세히 결함 분석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 요구사항 검증을 위한 시제품을 개발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

 

 

 

 

 


정렬

다수의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방법 (값이 아닌 위치를 기준으로 진행)

 

삽입 정렬(Insertion) 좌측에 이미 정렬된 요소와 비교하여 두 번째 데이터부터 정렬을 진행하는 방식
버블 정렬(Bubble) 정렬 대상 중 기준값으로 지정한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다음(우측)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
선택 정렬(Selection) 기준값으로 선택된 데이터를 나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
힙 정렬(Heap) 정렬 대상을 완전 이진트리 형태로 만들어 정렬하는 방식(최대값,최소값을 비교적 쉽게 추출)
퀵 정렬(Quick) 매우 빠른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적용한 기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