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Linux

[Linux] 리눅스 cat 명령어 (파일을 생성하고 결합할 때 사용! vi보다 간단하게 내용 확인하는 방법)

ByeongJun 2024. 5. 23. 02:13
반응형

cat

  • concatenate의 줄임말
  •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거나 여러 파일을 결합하는데 유용
  • >, >> 같은 리다이렉션을 사용해 파일 생성, 저장 용도로 사용 가능
  • 리눅스에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view, vi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간단하게 문서 확인만 할 목적일 때 유용
    (파일 안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 

 

 

 cat BJ 

'BJ' 라고 미리 생성해놓은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

 

 cat BJ > BJ1 

'BJ'의 내용을 'BJ1'이라는 이름으로 생성했기 때문에 

'BJ' 파일과 동일한 내용이 터미널에 출력 

 

만약 리다이렉션 기호 (>) 없이 파일명만 나열했다면 

'BJ'와 'BJ1'의 내용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출력 

 

 cat BJ BJ1 > BBB 

파일명도 나열했고 리다이렉션 기호 (>)도 있으면 

'BJ' + 'BJ1'의 내용을 'BBB' 이름의 파일에 합친 내용이 터미널에 출력

 

리다이렉션 기호 (>)을 사용해 대상 파일의 내용을 복사, 생성, 합칠 수 있다.

 

만약 생성될 파일명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파일 내용이 그대로 덮어 씌워지니 주의해야하는데

> 대신 >>을 사용하면 기존 파일의 내용을 지우지 않고

대상 파일의 내용을 아래에 추가한다.  

 

 

 

 

 

cat fileName | less

 

 cat  명령어와  (\+Shift) 함께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을 vim 편집기로 볼 수 있다. 

 

 |  : 파이프(pipe) 연산자 (파이프는 앞의 명령어 출력 결과를 뒤의 명령어 입력으로 전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