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Linux

[Linux] 리눅스 su,sudo 명령어 (사용자 계정을 전환 또는 관리 권한 실행할 때) + host와 root에 대해 간단 요약 깔끔 정리

ByeongJun 2024. 5. 29. 20:18
반응형

HostName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는데 

우리가 입력하는 URL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서버 IP 주소를 가리킨다.

 

IP 주소 외우는 것은 어렵겠지만, URL을 외우는 것은 어렵지 않다.

 

 

 

www.naver.com     // 도메인 예시

 

'www'는 도메인의 호스트 이름으로 보통 웹 서버를 나타낸다. 

'naver.com'은 도메인의 이름으로 웹 사이트를 나타낸다.

 

Hostname은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도메인 이름의 일부로 사용되어 특정 서버나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를 구별하고 인터넷에서 특정 서버에 접근 가능하다. 

 

 

 

 

 

HOST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 1대를 HOST라고 본다.

리눅스를 처음 설치하면 해당 계정은 관리자인  root 로부터 권한을 부여받는다. 

 

 

 

root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권한의 계정으로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 / )로도 표현 

 

 root와 일반 사용자 계정은 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계정에서 권한이 필요할 땐 명령어를 사용해 root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계정 전환을 위한 명령어를 알아보도록 하자! 

 

su (switch User)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하지 않고 (패스워드 입력 후)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 

># su [계정명]     // 현재 계정의 환경변수를 유지한 상태로 전환
># su- [계정명]    // root 계정의 환경변수'까지' 적용되어 전환

 

 

sudo (superuser DO)

현재 계정에서 일시적으로 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 

># sudo [명령어]     // 실행 시 root 패스워드 필수 입력

su 명령어는 아예 계정이 전환되어버리지만, 

sudo 명령어는 그냥 명령어 단위로 root 권한만 빌린다 차이점이 있다. 

 

 

 

현재 내가 어느 계정인지 알고싶다면  whoami id -un id  등 여러 방법으로 확인 가능하다. 

 

 

 

 

 

로그아웃하거나 시스템 종료 관련한 명령어는 아래의 게시물에서 확인하길 바란다!

 

[Linux] 리눅스 종료 명령어 자주 쓰는 애들로 정리 (init 0 / shutdown / halt / poweroff / reboot / systemctl)

회사에서 나 같은 신입 알려주느라 고생하시는 주임님께서 분명 시스템 종료할 때  init 0  쓰라고 100번은 알려주셨는데 기어코 오늘도 홀랑 까먹어버린 답답한 나를 위해 정리하는 글 시스템

3mmmee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