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Rocky Linux Network Setting (로키 리눅스 network-scripts 이후 쌈뽕하게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로 재시작)

ByeongJun 2024. 5. 30. 21:41
반응형

매일 퇴근하고 도서관 와서..

꾸벅꾸벅 졸음 오는 거 참아가면서

아무리 공부해도 정말 하나도 모르겠다.. 

 

지금은 모르는게 부끄러울 때가 아니지만 

나중엔 모르는게 부끄러운 것이기 때문에 

오늘도 도서관에 온 나를 그래도 칭찬하며

ㅇㅋ 중2병 도져서 공부 자극하고 시작

 

 

 

 

 

CentOS 7까지는

 /etc/sysconfig/network-script  아래에 있는 ifcfg- "이더넷명" 파일을 수정한 다음 

network.service를 재시작하여 적용했었다.

 

 

 

Rocky Linux에서는 

NetworkManager를 사용해 네트워크 설정을 적용한다. 

CUI 환경에서는  nmcli 로, GUI 환경에서는  nmtui 로 설정한다.

 

 

 

 

 

이전 글에서  sudo  명령어는 root가 아닌 사용자가

root 권한을 사용하게 만드는 명령어라고 말했다. 

 

[root@localhost ~]# sudo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TYPE=Ethernet          # 디바이스 타입 (이더넷 인터페이스)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 부팅 시 IP 주소 할당 방식 (dhcp: 동적, static: 정적, none: 설정 안 함)
DEFROUTE=yes           # 기본 게이트웨이 사용 여부
IPV4_FAILURE_FATAL=no  # IPv4 설정 실패 시 로그 기록 여부 (오타 있음: IPV4_FAILURE_FATAL이 맞음)
IPV6INIT=yes           # IPv6 활성화 여부
IPV6_AUTOCONF=yes      # IPv6 자동 설정 여부
IPV6_DEFROUTE=yes      # IPv6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여부
IPV6_FAILURE_FATAL=no  # IPv6 설정 실패 시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여부
NAME=ens33             # GUI 도구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이름
UUID=ee66f06d-6454-4a6b-86fd-83ba5261ec5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고유 ID
DEVICE=ens33           #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이름
ONBOOT=no              # 부팅 시 인터페이스 활성화 여부
더보기

각 항목 설명

  1. TYPE=Etherne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타입. 이더넷 인터페이스.
  2. PROXY_METHOD=NONE:
    • 프록시 설정 방법. NONE이면 프록시 설정 안 함.
  3. BROWSER_ONLY=NO:
    • 브라우저 전용 설정 여부. NO면 브라우저 전용 아님.
  4. BOOTPROTO=dhcp:
    • 부팅 시 IP 주소 할당 방식. dhcp는 DHCP 서버로부터 동적 할당.
    • 옵션: dhcp, static, none
  5. DEFROUTE=yes:
    • 이 인터페이스를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할지 여부. yes면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
  6. IPV4_FAILURE_FATAL=no:
    • IPv4 설정 실패 시 로그 기록 여부. no면 실패해도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안 함.
    • 오타: IPV4_FAILURE_RATAL이 IPV4_FAILURE_FATAL이 맞음.
  7. IPV6INIT=yes:
    • IPv6 활성화 여부. yes면 IPv6 활성화.
  8. IPV6_AUTOCONF=yes:
    • IPv6 자동 설정 여부. yes면 자동으로 IPv6 주소 설정.
  9. IPV6_DEFROUTE=yes:
    • IPv6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여부. yes면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
  10. IPV6_FAILURE_FATAL=no:
    • IPv6 설정 실패 시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여부. no면 실패해도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안 함.
  11. NAME=ens33:
    • GUI 도구에 표시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12. UUID=ee66f06d-6454-4a6b-86fd-83ba5261ec5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고유 ID. 시스템에서 고유하게 식별.
  13. DEVICE=ens33:
    •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름. 실제 네트워크 장치 이름.
  14. ONBOOT=no:
    • 부팅 시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 여부. no면 부팅 시 활성화 안 함.각 항목 설명
  15.  

 

'#'은 주석 표시로 프로그래밍과 같이 해석하지 않는다.

 

 

 

위의 내용은 구글링하다가 찾아본 내용이고

나한테 필요한 내용으로만 다시 정리하자면 

 

[root@bj001 network-scripts]# cat ifcfg-ens33

TYPE=Ethernet          # 디바이스 타입 (이더넷 인터페이스)
PROXY_METHOD=NONE      # 프록시 설정 방법 (NONE: 프록시 사용 안 함)
BROWSER_ONLY=NO        # 브라우저 전용 여부 (NO: 브라우저 전용 아님)
BOOTPROTO=none         # 부팅 시 IP 주소 할당 방식 (none: 설정 안 함)
DEFROUTE=yes           # 기본 게이트웨이 사용 여부 (yes: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
IPV4_FAILURE_FATAL=no  # IPv4 설정 실패 시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여부 (no: 실패해도 비활성화 안 함)
NAME=ens33             # GUI 도구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이름
DEVICE=ens3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이름
ONBOOT=no              # 부팅 시 인터페이스 활성화 여부 (no: 부팅 시 활성화 안 함)
IPADDR=197.00.1.23     # 정적 IP 주소 설정
NETMASK=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 설정
GATEWAY=197.24.1.123   #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USERCTL=no             # 일반 사용자가 이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 (no: 제어 불가)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NetworkManager를 재시작하여 변경된 IP주소 및 호스트 네임을 적용

 

 

 

참고

 

[설정] CentOS/RHEL/Rocky Linux/Oracle Linux에서 네트워크 설정(1) - IP 주소 설정(영구)

RHEL 계열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방법

velog.io

 

 

Rocky Linux Network Setting 록키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Rocky Linux와 Alma Linux가 CentOS를 대체한다고해 한번 받아보았습니다.. 설치야 뭐 ....VMware로 ... 일단 Network를 설정해야 외부에서 접속해 VMware화면에서 사용하는 불편이 없으니까

hwang890.tistory.com

 

 

반응형